기(氣)를 찾아서

  • 관산일정
  • 관산기
  • 포토갤러리
  • 관산자료실

관산자료실

제목 부도
작성자 박상근 등록일 2006-04-13 조회수 594
첨부파일
내용
사찰에 들리면 흔히 볼 수 있는 부도(浮屠) 란 승려의 사리를 안치한 묘탑(墓塔)을 총칭하는 이름으로 부도(浮圖)·부두(浮頭)·포도(砲圖)·불도(佛圖)라고도 한다.

부도는 원래 부다(Buddha)의 음역으로 불(佛) 또는 불교를 의미하였고, 뒤에 가람탑이나 승려의 묘탑이라는 뜻으로 쓰였다. 주로 절의 입구에 대량으로 세워져 있는데 특별히 산천경계가 뛰어나고 명당이라고 알려지거나 명당으로 조사된 곳에 고승의 사리를 모시는 경우도 있다.

일정하지는 않지만 일반적인 부도는 사리를 안치하는 곳이므로 탑신을 받치는 기단부와 탑신을 얹고 있는 옥개석(屋蓋石), 그리고 상륜부(上輪部)로 이루어져 있다. 탑신부는 팔각으로 이루어져 있어 팔각원당형(八角圓堂型)이라 일컬으며, 한국의 경우 신라 때 건립된 석조부도는 모두 이 형태를 기본으로 삼는다. 그러나 이후 다양한 형태의 부도가 만들어졌는데 주로 탑형과 석종형이 주류를 이룬다.

한국에서 부도는 선종(禪宗)이 유행한 통일신라 말부터 본격적으로 조성되었다. 《삼국유사》에 의하면 한국에서 가장 오래된 부도는 신라 원광법사(圓光法師)와 혜숙(惠宿)의 부도 및 백제 혜현(惠現)의 부도라 전하고 있어 한국의 부도 조성 시점은 당(唐)나라 정관연간(627∼649)이라는 견해가 있다. 그러나 이것들은 남아 있지 않으며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것은 전흥법사염거화상탑(국보 제104호)이다. 팔각원당형을 기본으로 한 이 부도는 한국석조부도 양식의 기점을 이룬다.

이외에 대표적 부도로 대안사적인선사조륜청정탑(보물 제273호)·쌍봉사철감선사탑(국보 제57호)·보림사보조선사창선탑(보물 제157호)·선림원지부도(보물 제447호)·실상사수철화상릉가보월탑(보물 제33호) 등이 있다. 팔각원당형 부도 이외에 석종형(石鐘型)이 있는데, 현재 태화사지십이지상부도(보물 제441호)가 남아 있다.

사찰의 주변에는 많은 부도가 있다. 사찰은 예로부터 명당을 찾아 지은 경우가 많다. 예로부터 절은 아무곳에나 짖는 것이 아니라 일정한 지리잡기와 목적에 따라 지어졌는데 대찰의 경우에는 명당이라는 화두를 가지고 있다. 즉, 대찰이 자리한 곳은 대부분 명당이라는 속설은 무시할 것이 아니다.

대찰 주변에는 사리탑이 적지 않다. 주로 절 입구 일주문과 금강문 사이의 언덕정도에 자리를 잡고 있는데 모두 그런 것은 아니다. 때로는 절 뒤나 잘 앞마당에 자리를 잡는 경우도 이있다.
간혹 절에서 조금 떨어진 곳에 명당이라 이름할 수 있는 혈(穴)에 자리하는 경우도 있다. 여주 신륵사, 보은 복천암, 강화 정수사, 등이 이에 속한다. 이와 같은 결과로 보아 고승의 사리를 좋은 곳에 모시고자 하는 제자들의 염원이 느껴진다.
목록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