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산에서 통도사에 이르는 35번 국도를 타고 내원사로 들어가는 길을 지나 2킬로미터의 거리에 백록리가 있다. 이 도로변에 국장생석표가 있다. 길가에 있기 때문에 찾기 쉬울 것 같지만 조금 높은 곳에 있어 스치고 지나갈 가능성이 높다. 언뜻 보아서는 기둥 하나 세워놓은 듯 보이지만 통도사국장생석표(通度寺國長生石標)는 보물 74호로 지정되어 있다. 경남 양산시 하북면 백록리 718-1번지에 자리하고 있으며 길가이기 때문에 찾기가 어렵지 않다. 통도사(通度寺) 국장생(國長生)은 4만 7천보(步)나 되는 통도사를 중심으로 사방 12곳에 세워놓은 장생표(長生標)의 하나로, 절의 동남쪽 약 4㎞지점에 거친 자연석면 그대로 서있다. 이 절의 경계를 나타내는 표시이며, 국장생이라는 명칭은 나라의 명에 의해 건립된 장생이라는 의미이다. 이 석표는 사찰장생의 대표적인 예로서 사찰의 경계(境界), 풍수(風水), 방액(防厄)을 위한 장생석표로서 전면의 명문(銘文)은 자경(字經) 약 5∼9cm의 음각된 이두문(吏讀文)으로 되어 있고, 형태는 거친 자연석의 전면을 막다듬하여 곧추 세운 것이다. 비문의 내용은 "통도사 손내천 국장생 일좌(一座)는 절에서 문의한 바 상서호부(尙書戶部)에서 을축년(乙丑年) 5월의 통첩에 있는 이전의 판결과 같이 다시 세우게 하므로 이를 세운다"는 것으로 나라에서 통첩을 받아 명에 의해서 세운 것임을 알 수 있다. 제작연대는 고려(高麗) 선종(宣宗) 2년(1085)이고 높이는 167cm, 폭은 60cm이다. 장생은 수호신, 이정표, 경계표 등의 구실을 하고 있어 풍수지리설과 함께 민속신앙과도 깊은 관계를 맺고 있는데, 이 장생은 경계표와 보호의 구실을 한 것으로 보인다. 고려 선종 2년(1085)에 제작된 것으로, 나라의 통첩을 받아 세웠다는 글이 이두문이 섞인 금석문으로 새겨져 있어 국가와 사찰과의 관계를 알려주는 중요한 자료이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