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산시 송악면 평촌리 산2의4번지에는 보물 제536호로 지정된 석조약사여래입상( 石造藥師如來立像)이 있다. 아산시청이 있는 옛날의 온양에서 39번 도로를 타고 외암마을로 가다보면 외암교 앞에 약사여래좌상을 알리는 간판이 있다. 다리를 건너기 전 송악저수지로 이어지는 물줄기 옆으로 약 300미터를 가면 삼거리가 나오고 우측으로 가면 최근 새로이 놓여진 다리 밑으로 통과하는 도로가 있다. 이 도로를 따라 들어가면 허름한 사찰이 나오고 그 뒤에 약사여래상이 있다. 작은 사찰을 지나 20미터만 올라가면 약사여래상이 장엄미소로 중생을 굽어보고 계신다. 뒤쪽은 언덕의 형상을 하고 있으며 정면의 우측으로는 작은 계곡이다. 이 거구의 석불입상은 고려시대의 대표적인 장륙불상(1장 6척)이다. 상체가 짧고 하체가 긴 다소 불균형스러운 불상이지만 얼굴이나 옷 주름의 뛰어난 조각 솜씨 때문에 우수한 불상으로 돋보이고 있다. 갸름하고 단아한 얼굴, 맵시 있는 이·목·구·비, 잔잔한 미소등은 고려시대의 독특한 불상양식의 특징을 잘 보여 주고있다. 이러한 점은 불상의 체구가 직사각형이면서 평판적이지만 손이나 팔, 어깨와 다리를 서투르게 표현하지 않은 점이나 옷 주름의 유려한 솜씨등으로 당시의 석불 상으로는 드물게 우수한 모습을 표현한 데에서도 잘 나타나고 있다. 특히 선이 구불거리는가 하면 기하학적인 좌우대칭성을 잘 지키고 있고, 힘없이 흐늘어진 선인가 하면 상당히 유려하고 섬세한 필선을 과시하고 있으며, 혼란된 선인가 하면 무릎 등 동심원의 강조점을 표현한 옷 주름선의 특징 있는 표현은 얼굴의 단아한 형태미와 함께 고려시대 석불상을 대표하는 우수한 작품임을 단적으로 알려주고 있다. 더구나 두 손을 가슴 앞에 모아 약합을 받쳐들고 있는 수인은 중생들이 앓고 있는 심신의 온갖 병마를 없애주는 자비로운 의왕인 약사여래의 모습을 잘 나타내고 있어서 이 불상을 찾는 참배객들에게 환희심을 더욱 일으키게 해 주고 있다. 이 불상은 나지막한 언덕위에 자리하고 있으며 그리 넓지 않은 뜨락을 바라보고 있다. 343.8미터의 황산자락에 위치하고 있으며 계곡이 모이는 곳의 위쪽에 모셔져 있다. 부근에 절이 있었는지는 알 수 없다. 신앙으로서의 본체일 뿐 아니라 미래를 기원하는 여래불이라는 점에서도 주목된다. 석조약사여래입상이 세워진 마을은 마치 호리병 모양으로 생긴 곳인데 뒤로는 황산이 자리하고 앞으로 좌우 산자락이 뻗어나와 입구가 아주 좁아졌는데 전형적인 비보풍수가 필요한 지세다. 그러나 약사여래입상이 비보풍수로 세워진 것인지는 알 수 없다. 그러나 이 골에서 가장 잘 보이는 곳이고 산언덕이 이어진 곳이라는 점에서는 매우 적절한 곳에 모셔져 있음을 부정하기 힘들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