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암민속마을 앞에서 약 6킬로미터 정도를 가면 우측으로 유곡교라는 다리가 나타난다. 이 길을 따라 끝까지 오르면 봉곡사가 있다. 길 입구에서 봉곡사까지는 매우 좁은 도로다. 주차장 정면에 만공탑이 보이고 작은 개울 건너에 봉곡사가 있다. 절을 오르는 주변 전경이 조용하고 아늑해 고즈넉한 절 분위기를 느낄 수 있으며 절터 또한 아담하다.
봉곡사는 시원이 오래되었다. 송악면의 남단 봉수산의 동북 계곡에 위치한 고찰이다. 울창한 송림으로 에워싸인 진입로와 배산이 청정도량의 면모를 돋보이게 한다. 조선시대의 승람과 지리지에는 “석암사”라 했으며 1929년 환여승람에 “봉곡사”라 한 것으로 보아 사명을 변경한 것으로 보인다. 신라51대 진성여왕 원년(887년) 2월에 도선국사가 창건하고 고려 18대 의종(1170년)때에 보조국사가 중창했으며 세종조(1419년)에 함허대사가 삼창하였는데 이 때는 상암, 벽련암, 보명암, 태화암 등의 암자가 있었다고 한다. 임진왜란 때에 본전과 여섯 암자가 폐허된 것을 인조24년(1647년) 다시 중창하고 정조18년(1794년) 중수하여 봉곡사라 개칭했다. 고종7년(1891년)에 서봉화상이 법당 및 요사를 중수 현존한다. 계곡을 앞에 두고 800여평의 사역을 조성하였는데 대웅전과 향각전은 나란히 동향에 있고 그 북쪽으로 “ㅁ자형”의 큰 요사채가 있다. 대웅전과 요사는 고풍스러운 목조 건물의 구조를 간직하고 있다. 특히 만공선사께서 을미년(1895년)7월에 법계성을 깨닫고 오도송을 읊은 불교 성지로 유명하다. 봉곡사에는 귀한 문화재가 있다. 봉곡사 불화(鳳谷寺 佛畵)가 그것으로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242호로 지정되어 있다. 대웅전과 고방도 문화재로 지정되어 있는데 이곳의 고방은 사찰 건물에서 흔치 않은 건물이다.
봉곡사는 무난한 지세에 자리한 사찰터다. 계곡을 끼고 있는 사찰의 터는 만곡한 계곡을 앞으로 한 배산임수 터다. 수구 방향이 열렸다고 생각할 수도 있는 지세인데 나무가 우거져 보이지 않는다. 앞은 울창한 송림이 우거졌는데 아마도 풍수적 관점에서 수구를 막고 있도록 조성한 것으로 보인다. 모든 당우는 높은 산을 등에 지고 있다. 삼성각은 근래 지어졌다고는 하나 위치적으로 과거에도 이곳에 있었을 가능성이 높다. 비록 혈은 이루지 못했으나 혈판과 유사하게 기맥이 드러난다. 삼성각 터로는 매우 뛰어난 터다. 이 터는 봉황이 나래를 편 형국이라 한다. 사찰에서는 잘 드러나지 않지만 조금 떨어져 살펴보거나 산위로 올라가 살펴보면 마치 봉황이 나래를 폈다는 말이 실감 난다. 형국은 풍수의 보조수단이지만 형국을 논하자면 봉곡사는 봉황의 머리에 해당하는 부분에 해당된다.
|
|